CAD 팁과 정보

[특허 출원 A to Z] 심사관을 사로잡는 CAD 도면 작성법

유디팩토리 2025. 10. 3. 16:50
내 아이디어를 권리로! 특허 출원의 핵심, '도면'은 어떻게 그려야 할까요? 일반 설계 도면과 다른 특허 도면만의 까다로운 작성 규칙, 선 굵기부터 뷰(View) 표현까지, 심사관의 마음을 사로잡는 도면 작성법을 알려드립니다.

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발명품을 만들었다면, 그 기술을 법적으로 보호받기 위해 '특허'를 출원해야 합니다. 특허 출원 서류에서 명세서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바로 '도면'입니다. 특허 도면은 단순히 발명의 모양을 보여주는 것을 넘어, 기술의 핵심적인 특징과 구조를 심사관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죠. 하지만 특허 도면은 우리가 평소에 그리는 설계 도면과 작성 규칙이 달라 주의가 필요합니다. 오늘은 특허 출원의 성공률을 높이는 CAD 도면 작성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😊

 

🤔 일반 도면과 특허 도면, 무엇이 다를까?

가장 큰 차이점은 '목적'에 있습니다. 일반 설계 도면이 '제작'을 위한 정확한 치수와 공차 정보를 담는 것이 목적이라면, 특허 도면은 **'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명확하게 표현'**하는 것이 최우선 목적입니다.

구분 일반 설계 도면 특허 도면
주요 목적 제작(Production) 설명(Illustration)
치수/공차 필수적, 매우 상세함 원칙적으로 기입하지 않음
표현 방식 KS/ISO 등 산업 표준 준수 특허청이 정한 형식 엄수

 

✍️ 특허 도면 작성을 위한 5가지 핵심 규칙

특허청이 요구하는 도면의 형식은 매우 엄격합니다. 아래 5가지 규칙은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.

  1. 흑백의 선으로만 표현한다: 음영, 색상, 회색조(그레이스케일)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. 모든 형상은 오직 검은색 선으로만 명확하게 표현해야 합니다.
  2. 치수와 문자를 기입하지 않는다: 치수, 공차, 재질 등 제작에 필요한 정보는 일절 기입하지 않습니다. 대신, 각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'부호(인출번호)'를 사용합니다.
  3. 배경이나 부가 설명을 넣지 않는다: 발명의 이해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배경이나 불필요한 설명 문구는 도면을 혼란스럽게 하므로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.
  4. 선을 명확하게 구분한다: 외형선은 굵은 실선, 단면 표시는 해칭, 보이지 않는 부분은 파선으로 명확히 구분하여 표현해야 합니다. (KS 제도법과 유사)
  5. 다양한 뷰(View)를 활용한다: 사시도(등각투상도), 정면도, 평면도, 측면도 외에 발명의 특징을 잘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, 분해 사시도, 확대도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.

 

💡 심사관의 이해를 돕는 도면 작성 Tip

  • '제1도'는 사시도로 시작하라: 발명의 전체적인 형상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사시도(斜視圖, Isometric View)를 첫 번째 도면으로 제시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.
  • 단면도를 적극 활용하라: 내부의 복잡한 구조나 부품 간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서는 단면도가 매우 효과적입니다.
  • 부호(인출번호)를 체계적으로 부여하라: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부품 번호와 도면의 부호가 일치해야 합니다. 부호는 순서대로, 겹치지 않게 명확히 기입해야 합니다.
  • 출력 품질을 고려하라: 최종 제출은 흑백으로 이루어지므로, 너무 얇은 선이나 복잡한 해칭은 인쇄 시 뭉개질 수 있습니다. 선 굵기를 0.25mm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 

특허 도면은 단순한 '그림'이 아니라, 내 아이디어의 권리 범위를 결정짓는 '법적인 증거'입니다. 아무리 훌륭한 발명이라도 도면이 부실하여 그 기술적 특징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면 특허 등록이 거절될 수 있습니다. 오늘 알려드린 규칙들을 바탕으로 명확하고 설득력 있는 특허 도면을 작성하시길 바랍니다! 😊